지혜로운 인간생활
인간관계의 기본은 타인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바른 상황판단과 대처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한국인은 관계를 중시하고 '우리'라는 공동체 문화가 강하다. 인지심리학자인 김경일 교수가 쓴 "지혜로운 인간생활"에서 인간관계의 실마리를…
인간관계의 기본은 타인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바른 상황판단과 대처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한국인은 관계를 중시하고 '우리'라는 공동체 문화가 강하다. 인지심리학자인 김경일 교수가 쓴 "지혜로운 인간생활"에서 인간관계의 실마리를…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와 고가 후미타케의 <미움받을 용기>는 후속작인 <미움받을 용기2>와 함께 출간 8년만에 국내에서 200만부, 전세계적으로 1000만부가 넘게 팔렸다. 전자책과 오디오북은 물론 음악이 들리는 ebook까지 나왔다. 이렇게 사랑을…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 중 하나는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 즉 자존감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를 싫어하고 무가치하다고 생각하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결국…
그리스도교는 죄와 회개를 강조한다. 기독교의 가장 대표적인 찬양인 ‘나 같은 죄인 살리신(Amazing Grace)' 이란 곡도 죄악에 빠진 우리를 구원해 주신 구세주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https://youtu.be/lhc7MEYY-Ho?feature=shared 또한 천주교에서는 고해성사를 한다. 밀폐된 고해소에…
살다 보면 어찌해야 할 지 모를 순간들이 있다. 내가 가진 지식과 지혜와 힘으로 도무지 해결 할 수 없이 막막할 때가 있다.나에게도 그런 시기가 있었다. 그 때 문득 떠오른 찬양이 <이와…
성당에서 교회의 성가들을 써도 되는가?합창음악의 선곡 기준오르간 연주곡의 선정성가(Hymn)의 적합성 판단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구분지식을 넘어서는 사람에 근거한 판단추천 찬양곡 성당에서 교회의 성가들을 써도 되는가?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하면서 혼란스러웠던 부분들…
보통 오르간 후주를 입당이나 파견곡을 다시 치거나 편곡해서 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성당마다 분위기가 다르겠지만 어떤 곳은 오르가니스트가 후주로 뭔가 특별한 곡을 치는 것을 달갑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지휘자와 반주자와의 관계지휘자 혹은 반주자의 부재시교회와 음악가 사이의 계약의 필요성 지휘자와 반주자와의 관계 전문 합창단이 아니라면 사실 전례에서 지휘자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외국 교회에서는 큰 교회가 아닌 이상 건반주자…
음악을 전공하게 된다면 한번 즈음은 편파판정에 대해 생각해 볼 일이 생긴다. 음악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이기에 판정시비는 피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국제 콩쿠르의 경우, 2003년 피아니스트 임동혁이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에…
음악가에게 연습의 삶이란?계획적인 연습의 필요성연습에 있어 왕도는 없다. 음악가의 길을 가기로 결심했다면 피할 수 없는 것이 연습의 삶이다. 연습해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강박관념으로 늘 따라다닌다. 음악가에게 연습의 삶이란? 적정한 연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