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짐 맡은 우리 구주, 누구의 죄를 내려놓는가?
그리스도교는 죄와 회개를 강조한다. 기독교의 가장 대표적인 찬양인 ‘나 같은 죄인 살리신(Amazing Grace)' 이란 곡도 죄악에 빠진 우리를 구원해 주신 구세주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https://youtu.be/lhc7MEYY-Ho?feature=shared 또한 천주교에서는 고해성사를 한다. 밀폐된 고해소에…
그리스도교는 죄와 회개를 강조한다. 기독교의 가장 대표적인 찬양인 ‘나 같은 죄인 살리신(Amazing Grace)' 이란 곡도 죄악에 빠진 우리를 구원해 주신 구세주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https://youtu.be/lhc7MEYY-Ho?feature=shared 또한 천주교에서는 고해성사를 한다. 밀폐된 고해소에…
살다 보면 어찌해야 할 지 모를 순간들이 있다. 내가 가진 지식과 지혜와 힘으로 도무지 해결 할 수 없이 막막할 때가 있다.나에게도 그런 시기가 있었다. 그 때 문득 떠오른 찬양이 <이와…
성당에서 교회의 성가들을 써도 되는가?합창음악의 선곡 기준오르간 연주곡의 선정성가(Hymn)의 적합성 판단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구분지식을 넘어서는 사람에 근거한 판단추천 찬양곡 성당에서 교회의 성가들을 써도 되는가?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하면서 혼란스러웠던 부분들…
보통 오르간 후주를 입당이나 파견곡을 다시 치거나 편곡해서 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성당마다 분위기가 다르겠지만 어떤 곳은 오르가니스트가 후주로 뭔가 특별한 곡을 치는 것을 달갑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지휘자와 반주자와의 관계지휘자 혹은 반주자의 부재시교회와 음악가 사이의 계약의 필요성 지휘자와 반주자와의 관계 전문 합창단이 아니라면 사실 전례에서 지휘자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외국 교회에서는 큰 교회가 아닌 이상 건반주자…
음악을 전공하게 된다면 한번 즈음은 편파판정에 대해 생각해 볼 일이 생긴다. 음악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이기에 판정시비는 피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국제 콩쿠르의 경우, 2003년 피아니스트 임동혁이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에…
음악가에게 연습의 삶이란?계획적인 연습의 필요성연습에 있어 왕도는 없다. 음악가의 길을 가기로 결심했다면 피할 수 없는 것이 연습의 삶이다. 연습해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강박관념으로 늘 따라다닌다. 음악가에게 연습의 삶이란? 적정한 연습…
음악영재에 관하여천재 음악가의 신화연습불변의 법칙 음악영재에 관하여 한때 TV에서 영재발굴단이라는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 각 분야의 영재들을 찾아 어떻게 영재가 되었는지를 취재했다. 음악영재를 찾아다니는 바이올리니스트 헨리의 ‘같이헨리’ 유튜브 동영상들의 조회수는 몇십만회를…
종교음악을 공부하다.미국의 교회음악감독 (Music Director)한국교회의 음악가들에 대한 처우성당 내의 전업 반주자의 필요성한국에서 종교음악가가 된다는 것 종교음악을 공부하다. 대학교 4학년 때 학교에서 진로적성검사를 했었다. 사실 이 일은 내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
나를 소개 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은 '음악'이다. 어려서부터 음악을 해왔고 중학교 때부터 예술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였다. 음악학교만 국내에서 10년, 해외에서 5년을 다니며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공부했다. 그 이후 지금까지…